부동산이야기9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분양가 상한제의 뜻과 의미 (분양가 산출방법, 적용대상, 논란) 오늘의 공부- 분양가 상한제 최근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하겠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이로서 주택 가격을 안정적으로 잡으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서 분양가 상한제란 어떤 뜻일까요? 단순하게 보기에는 그냥 분양가의 상한선을 없애겠다는 뜻 같은데,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것 같아서 오늘의 공부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함께 공부하시죠. 1. 기본적인 뜻 일정한 지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분양할 때 일정한 기준으로 산정한 분양 가격 이하로만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주택법 57조에 근거해서 정해졌다고 합니다. 2. 상세한 설명 2-1. 분양 가격 산정 분양 가격은 *택지비와 *건축비를 더한 가격으로 산정합니다. 사업주체는 산정된 분양 가격을 입주자 모집공고에 세부내역과 함께 공시해야 .. 2022. 5. 18.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뱅크런의 뜻과 의미 2편 (뱅크런의결과, 방지대책, 실제사례) 4. 뱅크런의 결과 4-1 뱅크런이 터진다면? 은행에 뱅크런이 터지게 되면, 본인들의 돈을 찾으러 온 예금주들로 아수라장이 열리게 됩니다. 그래서 뱅크런이 터지면 은행은 일단 문을 닫고 본인들이 돈을 빌려준 채무자에게 대출해 준 자금을 강제로라도 회수하게 됩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때문에 채무자의 부담은 당연히 늘어나고, 만약 이로 인해서 파산하는 채무자가 늘어난다면 연쇄적으로 은행도 함께 파산하게 됩니다. 4-2 뱅크런이 터진 대표적인 사례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뽑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버블이 생겨난 당시 집을 담보로 대출해줬던 은행이 슬슬 불안감을 느끼고 채무자들에게 상황을 요청하기 시작하자, 이들의 주택이 대규모로 경매에 올라가면서 집값을 폭락시켰습니다. 이.. 2022. 5. 3.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뱅크런의 뜻과 의미 1편 (과거와 현대의 뱅크런, 국가에 의한 뱅크런 ) 뱅크런을 공부 내용으로 선정한 이유 뱅크런에 관한 이야기는 종종 듣게 됩니다. 물론 일어나선 안 되는 일이다. 은행이 파산한 것이다. 이 정도로만 알고 있을 뿐이지 정확한 뜻과 왜 생기는 일인지에 대한 것은 전혀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자세하게 파 해쳐 보고자 공부용으로 선정했습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1. 기본적인 뜻 뱅크런은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대량 예금인출 사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단기간에 예금에 대한 대량의 인출요구가 일어나는 사태를 지칭합니다. 은행의 과실로 인해 뱅크런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은행은 높은 확률로 파산하게 될 것입니다. 2. 뱅크런이 일어나는 이유 2-1) 과거의 뱅크런 과거의 뱅크런 이야기를 하자면, 뱅크런의 원인 중 가장 큰 이유는 전 세계의 모든 .. 2022. 5. 2.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공시지가의 뜻과 의미 (취득세, 공시가 용어공부) 공시지가를 공부하는 이유 부동산을 공부하다 보면 참 많이 나오는 단어가 바로 이 공시지가입니다. 그냥 대충 부동산 가격 기준이라고는 알고 있지만, 정확한 뜻은 알지 못하니 이해가 안 될 때가 많습니다. 아마 많은 부동산 초보 분들도 정확한 뜻에 대해서는 모르실 것 같아서 함께 공부하고자 선정했습니다. 같이 공부해보시죠. 1. 기본적인 뜻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하고, 평가하여 공시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을 뜻합니다. 2. 상세 설명 예를 들어보자면, A라는 토지가 건물이 없는 일반 대지인 경우에 얼마의 가치를 가지고 거래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한국 감정원'과 '감정 평가사' 들에게 의뢰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 공시지가 개념이 있는 이유는.. 2022. 4.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