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8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ETF의 뜻과 의미, 장점과 단점 ( ETF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 기본적인 뜻 직역하자면 상장 지수 펀드(Exchange Traded Fund)라고 합니다. 주로 주가 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해서 비슷하게 움직이고,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입니다. 초기의 ETF는 주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는 상품으로 시작을 해왔지만, 점점 채권, 원자재, 통화, 레버리지, 인버스, 액티브 등 다양한 자산 또는 전략을 추적하는 상품들로 발전해 왔습니다. 한국에서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가 처음 발달했기 때문에 ETF를 한국에서는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번역하여 부릅니다. 그러나 정확히는 ETF라는 영어 이름 자체에는 '지수'라는 말은 안 들어갑니다. 현재 ETF는 단순히 지수 추종만 하는 것이 아닌 사실상 액티브 펀드와 같은 성격의 ETF도 있기 때문에 .. 2022. 4. 19.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주식에서 배당이란 무엇일까? ( 배당주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 1. 기본적인 뜻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금 일부 또는 전부를 주주에게 주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기업이 주주에게 베푸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원리상 주주가 주체이고 기업은 대상물일 뿐입니다. 주식회사가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인 이윤을 극대화해서 주주에게 더 많은 배당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식회사 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행사이기도 합니다. 1) 재무제표 상 배당이 가능한 상황 재무상태 표상 이익잉여금의 범위 안에서 배당을 할 수 있습니다. 단, 이익은 발생주의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그 회사가 진짜로 가지고 있는 현금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익잉여금이 넘쳐나도 실제 현금이 없다면 배당은 불가능입니다. 반대의 상황은 회사에 현금이 .. 2022. 4. 17.
<준스탁의 주식용어> 주식 감자의 뜻과 의미 (이해하기 쉬운 설명) 1. 기본적인 뜻 경제·회계 용어로 자본 감소를 줄인 말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증자입니다. 주식회사나 유한회사가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서 자본 총액을 줄이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감자가 이뤄지는 일반적인 사유로는 회사를 정리하는 경우, 또는 분할, 합병 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과대 자본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거나, 한계상황에 이른 회사가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게 보통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이익잉여금 계정의 결손금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자본잠식 위기에 빠지게 되었을 때 감자를 통해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자는 주주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린 사항입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상법에서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자본감소의.. 2022. 4. 15.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유상증자, 무상증자의 뜻과 의미 (3자배정, 주주배정, 무증, 유증 등 ) 1. 통합적인 뜻 어떠한 기업이 일정 금액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회사의 주식의 총량을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채권을 발행하여 타인에게서 자금을 빌려오는 차입이 있으며, 2. 두 번째는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일정 부분의 권리를 주고 투자를 받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 다 회사의 자산이 늘어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부채로 표현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자본으로 표현됩니다. 전자는 타인의 돈을 빌리는 것이기에 그에 따른 원금과 이자의 반환이 필요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신주발행을 통한 '자기 자본의 조달'이기에 온전히 자기 돈으로 남게 되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증자 목적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2022.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