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볼린저밴드 뜻과 의미 (기본적인 뜻과 사용 방법) 오늘의 공부 내용 차트를 이용한 거래를 하는 주식 투자자들은 차트에 여러 가지 보조지표들을 많이 사용하곤 합니다. 그중 볼린저밴드는 주로 사용하는 보조 지표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볼린저밴드는 어떤 방식으로 생성이 되고, 어떤 식으로 매매를 하는 것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같이 공부하시죠. 1. 기본적인 뜻 볼린저밴드의 이름은 개발자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미국의 재무분석가 존 볼린저 (John A. Bollinger)가 1980년대에 개발한 기술적 분석도구라고 합니다. 2011년 상표권을 취득하여 정식으로 인정받아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알려줍니다 만 기준 이동평균선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주가가 이 범위 내에서 움직일.. 2022. 5. 13.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PER, PBR의 뜻과 의미 (일드갭, per, pbr 사용 방법) 오늘의 주식 용어는? 주식투자를 할 때 가치를 판단해서 투자하시는 분들은 PBR, PER이라는 용어를 무조건 쓸 것입니다. 주식을 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초보 주식 투자자분들을 위해 이 두 개의 용어에 대한 뜻과 의미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PER과 PBR에 대하여 같이 공부해보시겠습니다. 1. PBR이란? 1-1 기본적인 뜻 주가와 순자산의 비율을 뜻합니다.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시장가치 비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계산방법 :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 1-2 상세한 설명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 2022. 5. 10.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뱅크런의 뜻과 의미 2편 (뱅크런의결과, 방지대책, 실제사례) 4. 뱅크런의 결과 4-1 뱅크런이 터진다면? 은행에 뱅크런이 터지게 되면, 본인들의 돈을 찾으러 온 예금주들로 아수라장이 열리게 됩니다. 그래서 뱅크런이 터지면 은행은 일단 문을 닫고 본인들이 돈을 빌려준 채무자에게 대출해 준 자금을 강제로라도 회수하게 됩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때문에 채무자의 부담은 당연히 늘어나고, 만약 이로 인해서 파산하는 채무자가 늘어난다면 연쇄적으로 은행도 함께 파산하게 됩니다. 4-2 뱅크런이 터진 대표적인 사례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뽑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버블이 생겨난 당시 집을 담보로 대출해줬던 은행이 슬슬 불안감을 느끼고 채무자들에게 상황을 요청하기 시작하자, 이들의 주택이 대규모로 경매에 올라가면서 집값을 폭락시켰습니다. 이.. 2022. 5. 3.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뱅크런의 뜻과 의미 1편 (과거와 현대의 뱅크런, 국가에 의한 뱅크런 ) 뱅크런을 공부 내용으로 선정한 이유 뱅크런에 관한 이야기는 종종 듣게 됩니다. 물론 일어나선 안 되는 일이다. 은행이 파산한 것이다. 이 정도로만 알고 있을 뿐이지 정확한 뜻과 왜 생기는 일인지에 대한 것은 전혀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자세하게 파 해쳐 보고자 공부용으로 선정했습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1. 기본적인 뜻 뱅크런은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대량 예금인출 사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단기간에 예금에 대한 대량의 인출요구가 일어나는 사태를 지칭합니다. 은행의 과실로 인해 뱅크런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은행은 높은 확률로 파산하게 될 것입니다. 2. 뱅크런이 일어나는 이유 2-1) 과거의 뱅크런 과거의 뱅크런 이야기를 하자면, 뱅크런의 원인 중 가장 큰 이유는 전 세계의 모든 .. 2022.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