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우선주의 뜻과 의미 1. 기본적인 뜻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서 특정한 우선권을 부여한 주식을 말합니다. 주식시장에서 회사명 다음에 "우"라는 글자가 표기되어 거래됩니다. 2. 우선주의 특징 1) 의결권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이 없습니다. 그 대신 우선주는 배당에 대해서 약간의 이익을 더 준다. 의결권 대신 추가 배당을 얻는 것입니다. 다만, 이것은 일반적 조합일 뿐이고, 상법 개정으로 정관의 규정에 따라 의결권+우선권인 주식도 얼마든지 발행 가능합니다. 2) 우선주의 종류 (1) 소정 비율의 우선배당을 받고도 이익이 남을 경우 보통주와 더불어서 추가적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참가적 우선주(없으면 비참가적 우선주) (2) 당해 영업 연도에 소정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할 경우 다음 영업연도에 이를 보상받을 수 있.. 2022. 4. 21.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저당권의 뜻과 의미 (저당권과 근저당권이란? 1. 기본적인 뜻 민법에서 규정하는 담보물권을 뜻합니다. 그냥 뜻을 본다면 쉽게 이해가 가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서 보충해보겠습니다. 만약 매수자가 부동산을 살 때, 은행에서는 매수자의 부동산에 '저당권' 을 설정하면서 대출을 해줍니다. 그러면 매수자가 부동산의 등기부를 발급받아보면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에 '1. 근저당권 설정' 이라는 항목에 '채권최고액 금 5,000,000,000원' 과 같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매수자가 부채상환능력이 좋지못해서 빚을 갚지 못하게 되면 은행에서는 저당권을 실행하게 되고, 매수자의 부동산에는 경매 절차가 진행될 것입니다. 채권최고액은 이자비용 및 경매실행비용도 포함하므로 대출실행액의 1.2배에서 1.3배에 해당하는 금액이 채권최고액으로 근저.. 2022. 4. 20.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ETF의 뜻과 의미, 장점과 단점 ( ETF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 기본적인 뜻 직역하자면 상장 지수 펀드(Exchange Traded Fund)라고 합니다. 주로 주가 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해서 비슷하게 움직이고,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입니다. 초기의 ETF는 주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는 상품으로 시작을 해왔지만, 점점 채권, 원자재, 통화, 레버리지, 인버스, 액티브 등 다양한 자산 또는 전략을 추적하는 상품들로 발전해 왔습니다. 한국에서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가 처음 발달했기 때문에 ETF를 한국에서는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번역하여 부릅니다. 그러나 정확히는 ETF라는 영어 이름 자체에는 '지수'라는 말은 안 들어갑니다. 현재 ETF는 단순히 지수 추종만 하는 것이 아닌 사실상 액티브 펀드와 같은 성격의 ETF도 있기 때문에 .. 2022. 4. 19.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주식에서 배당이란 무엇일까? ( 배당주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 1. 기본적인 뜻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금 일부 또는 전부를 주주에게 주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기업이 주주에게 베푸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원리상 주주가 주체이고 기업은 대상물일 뿐입니다. 주식회사가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인 이윤을 극대화해서 주주에게 더 많은 배당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식회사 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행사이기도 합니다. 1) 재무제표 상 배당이 가능한 상황 재무상태 표상 이익잉여금의 범위 안에서 배당을 할 수 있습니다. 단, 이익은 발생주의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그 회사가 진짜로 가지고 있는 현금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익잉여금이 넘쳐나도 실제 현금이 없다면 배당은 불가능입니다. 반대의 상황은 회사에 현금이 .. 2022.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