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의 마인드21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공시지가의 뜻과 의미 (취득세, 공시가 용어공부) 공시지가를 공부하는 이유 부동산을 공부하다 보면 참 많이 나오는 단어가 바로 이 공시지가입니다. 그냥 대충 부동산 가격 기준이라고는 알고 있지만, 정확한 뜻은 알지 못하니 이해가 안 될 때가 많습니다. 아마 많은 부동산 초보 분들도 정확한 뜻에 대해서는 모르실 것 같아서 함께 공부하고자 선정했습니다. 같이 공부해보시죠. 1. 기본적인 뜻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하고, 평가하여 공시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을 뜻합니다. 2. 상세 설명 예를 들어보자면, A라는 토지가 건물이 없는 일반 대지인 경우에 얼마의 가치를 가지고 거래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한국 감정원'과 '감정 평가사' 들에게 의뢰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 공시지가 개념이 있는 이유는.. 2022. 4. 29.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스태그플레이션의 뜻과 의미 (골디락스경제, 필립스곡선이란?) 1. 기본적인 뜻 Stagflation 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본주의 시장 경제에서의 최대로 경계하는 사태입니다. 주원인은 유가 또는 환율의 대규모 변동입니다. 과거 1970년대에 오일 쇼크 당시에는 한국도 어마어마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은 경험이 있습니다. 2. 상세 설명 기본적으로는, 상식적인 수준에서는 경기가 호황일 때는 수요 증가와 기대 심리로 물가가 오르고, 경기가 불황인 상태에서는 수요의 감소와 불안 심리로 인해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경제 불황과 동시에 물가도 오르는 상식에 어긋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말(즉 경제 호황이면서 물가가 안정되어 있.. 2022. 4. 27.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 임대차 3법이란? (2편 기본적인 뜻, 평가) 4. 시장 동향: 전세대란 4-1. 임대차 3 법 직후 2020년 상황 전월세 상한제 및 계약갱신청구권제 도입 이후 전셋값 상승세는 계속되고, 물량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는 2020년 7월 11,480건이었는데, 9월에는 4,518건으로 무려 61% 줄어들었다. 작년 대비로 비교해 본다면 7,234건을 기록한 2019년 9월에 비해 37%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해 9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월 대비 0.6% 올랐습니다. 같은 해 6월(0.24%) 및 7월(0.45%)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월세 상승률 역시 8월에는 0.13%, 9월에는 0.14%를 기록했는데, 이는 같은 해 6월(0.05%) 및 7월(0.09%) 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것입니다. 임대차법이 .. 2022. 4. 26.
<준스탁의 부동산이야기>임대차3법이란? (1편) 임대차 3법을 알아보는 이유 임대차 3법이 나온 이후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는 크고 작은 잡음들이 많이 들렸었습니다. 임차인은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 진 이 법이 왜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을까요? 저는 이 이유를 알고싶어 오늘의 공부를 임대차 3법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저와 같은 궁금증이 있으셨다면 함께 공부해보시죠. 1. 기본적인 뜻 기본적으로는 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 도입을 요점으로 한 주택임대차보호법 및 부동산거래신고법의 개정안이라고 합니다. 2020년 7월 29일 법사위를 거쳤고, 7월 30일 임대차법 반대를 내세운 야당이 불참한 가운데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으며 7월 31일 국무회의에서 개정안과 공포안이 바로 심의 의결되었습니다. (계약갱신청구.. 2022.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