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의 마인드21

<준스탁의 주식용어> 주식 감자의 뜻과 의미 (이해하기 쉬운 설명) 1. 기본적인 뜻 경제·회계 용어로 자본 감소를 줄인 말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증자입니다. 주식회사나 유한회사가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서 자본 총액을 줄이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감자가 이뤄지는 일반적인 사유로는 회사를 정리하는 경우, 또는 분할, 합병 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과대 자본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거나, 한계상황에 이른 회사가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게 보통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이익잉여금 계정의 결손금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자본잠식 위기에 빠지게 되었을 때 감자를 통해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자는 주주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린 사항입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상법에서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자본감소의.. 2022. 4. 15.
<준스탁의 주식이야기> 유상증자, 무상증자의 뜻과 의미 (3자배정, 주주배정, 무증, 유증 등 ) 1. 통합적인 뜻 어떠한 기업이 일정 금액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회사의 주식의 총량을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채권을 발행하여 타인에게서 자금을 빌려오는 차입이 있으며, 2. 두 번째는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일정 부분의 권리를 주고 투자를 받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 다 회사의 자산이 늘어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부채로 표현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자본으로 표현됩니다. 전자는 타인의 돈을 빌리는 것이기에 그에 따른 원금과 이자의 반환이 필요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신주발행을 통한 '자기 자본의 조달'이기에 온전히 자기 돈으로 남게 되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증자 목적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2022. 4. 14.
<준스탁 부동산용어> DSR이란 무엇일까? 기본적인 뜻 영어로 Debt Service Ratio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직역하자면 부채, 상환, 비율입니다. 돈을 빌리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금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은행의 모니터링을 받게 됩니다. 조금 더 알아보자면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LTV 등 기존의 규제와는 다르게 담보물(집) 보다 부채상환능력에 초점을 맞춘 정책입니다. LTV란 무엇일까? 기본적인 뜻 LTV (Loan To Value Ratio) 담보 인정 비율은 금융기관에서 내부적으로 대출 심사에 적용되는 규정으로 동산과 부동산에 대하여 담보로 인정하는 가치 비율을 뜻합니다. 상세한 설명 예를 junstock92.tistory.com 미국의 경우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22. 4. 13.
<준스탁 부동산용어> LTV란 무엇일까? 기본적인 뜻 LTV (Loan To Value Ratio) 담보 인정 비율은 금융기관에서 내부적으로 대출 심사에 적용되는 규정으로 동산과 부동산에 대하여 담보로 인정하는 가치 비율을 뜻합니다. 상세한 설명 예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감정가 10억 원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은행에서 주택 담보 대출로 8억 원을 빌렸을 때, LTV는 80%가 됩니다. 만약, 대출받은 사람이 돈을 못 갚았을 때 금융기관은 담보주택을 경매해서 그 대금으로 채권을 회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LTV가 너무 높게 책정되어 대출이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금융기관에서 대출 원리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경매가 진행되었을 때 매우 낮은 가격으로 낙찰이 될 수도 있고, 주택가격이 갑자기 폭락할 .. 2022. 4. 12.